본문 바로가기

디지털 세상/사물인터넷

업무 행태조차 달라지는 IoE 시대, 패스트 IT로 비즈니스 경쟁력을!

 

 

 

 

시스코가 ‘2014 시스코 커넥티드 월드 테크놀로지 보고서

(2014 Cisco Connected World Technology Report, 이하 2014 CCWTR)’ 발간했습니다.

 

이 보고서에서는 IT 기술이 미래의 근무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

X세대(1965-1979년생) Y세대(1980-1995년생) 선호하는 디바이스, 앱 솔루션이

슈퍼태스킹근무 방식을 가능하게 것이라고 밝히고 있는데요.

 

슈퍼태스킹이란 디바이스, 협업 솔루션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하여

동시에 2가지 이상의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업무 능력을 의미합니.

즉, 같은 시간 동안 두 배의 생산성을 내는 능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.

또 2014 CCWTR에 따르면 전세계 직장인 2/3 가량이 2020년에 들어

기업들이 가장 선호할 업무능력으로 슈퍼태스킹을 지목했다고 합니다.

 

슈퍼태스킹은 벌써부터 목격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. 최근 멕시코에서 개최됐던

'시스코 라이브 칸쿤' 현장에서 청중들에게 "한번에 몇 개의 기기를 쓸 수 있는가?"라는 질문을 던졌더니

3~4개라는 답변이 많긴 했지만 5~6개라는 답변도 나왔다고 하네요~ @_@

 

그렇다면 자칭타칭 'IT강국' 한국은 어떨까요? 

한국의 Y세대 직장인의 40% 자신을 슈퍼태스커 분류해 역시나 적지 않은 수치를 보여줬습니다. ^^;

하지만 슈퍼태스킹의 효과에 대해 한국 X, Y세대 직장인의 절반은 생산성 측면을 옹호한 반면,

나머지 절반은 오히려 슈퍼태스커들이 실수가 잦다고 답변해 의견 차이를 보였다는 군요. 흥미롭습니다~ 

또한 한국의 X세대 직장인 80% 인사담당자 91% Y세대 직원들이

모바일 기기와 앱을 활용한다면 이전 세대보다 업무를 훨씬 빨리 처리할 있을 것이라 답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슈퍼태스킹처럼,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만물인터넷(IoE) 시대에는

그에 걸맞은 새로운 업무방식이 자연스레 생겨날 수밖에 없습니다.

각 기업과 조직이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 적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건 당연한 이야기겠고요.

 

그렇다면 과연 우리의 현주소는 어디쯤일까요? 

CCWTR 2014 조사 결과 한국의 Y세대 직장인 50% 유연한 재택근무 환경을 중시하고,

X세대 직장인의 42% 자택에서 근무 업무효율이 높다고 답한 반면,

국내 응답자의 90% 현재 직장에서 재택근무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하는데요. -_-;

흐름에 역행하는 이런 모습들은 앞으로 차근차근 개선이 돼야만 할 것입니다.

안 그럼 급변하는 IoE 환경에서 자칫 도태될 지도 모르니까요!

 

한편, IoE 시대에 대비할 방법을 갈구하고 있는 기업과 조직들에게

시스코가 선보이고 있는 전략이 바로  '패스트 IT(Fast IT) 입니다. 

패스트 IT는 한 마디로 모빌리티, 보안, 클라우드, SDN 등 IT 혁신 기술들을 기반으로

'더 빠른 IT'를 구현하는 개념인데요. 급변하는 시장, 경제 환경에 맞춰 살아남으려면

비즈니스는 더욱 빠르게 혁신돼야 하고, IT는 그보다 한발 더 빠르게 바뀌어야 하는 게

오늘날 IT 중심 경제인만큼 '패스트 IT' 모델 도입으로 보다 빠른 IT 혁신을 노리는 것은

향후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에 있어 훌륭한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.

 

 

 

눈 앞에 성큼 다가 온 IoE 시대, 근로자의 업무 행태 변화는

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으며 그 변화는 날이 갈수록 가속화 될 것입니다.

이제는 한시바삐 '패스트 IT' 도입 등으로 대비에 나서야 할 시점입니다.

 

 

한편, 이번 CCWTR 2014의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이 글은 시스코 컨설팅 서비스에서 IoE 실행을 담당하는 조셉 브래들리(Joseph Bradley)이사의 원문 The Rise of the “Supertasker”: Our Next-Generation Workforce를 참고해 구성됐습니다.